LED 는 전기를 빛으로 바꿔주는 소자입니다. 복잡한 물리적인 법칙으로 설명되어야 하지만, 간단히 이야기해 볼께요. 전기는 + 와 - 가 있습니다. 이동하는 것은 - 뿐입니다. 하지만 쉽게 설명하기 위해 + 와 - 가 결합하여 빛이 생기는 것이라고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LED 는 극성이 있습니다. (그림2) 와 같이 LED 의 작은 금속판 부분이 + 이고 맞은편 부분이 - 입니다.
+와 - 에 전기가 인가되면 불이 켜집니다.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LED 는 허용된 전압 이상이 인가되면 쉽게 타버립니다. 따라서 (그림3) 과 같이 저항을 직렬로 연결한 회로를 구성해야 합니다. Vin 은 +를 뜻하고 三 자 모양은 - 를 뜻합니다. 적절한 R 은 VF(LED) 마다 달라집니다. 보통은 220 옴 저항을 연결해 주면 무방하지만, 일반적인 LED 가 아니라면 Datasheet 를 확인하여 저항치를 계산해 주어야 합니다.
회로를 쉽게 실험해 보기 위한 장치로 브레드 보드를 사용합니다. 브레드 보드(빵판) 는 처음에 빵을 자르는 나무 도마에 소자를 부착해서 실험했었기 때문에 유래된 이름인데요. 소자와 소자를 쉽게 납땜없이 연결해 주기 위해서 만들었습니다. (그림4)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쉬운데요. 연결된 위치로 소자를 배치하여 납땜을 하지 않더라도 선만으로 소자들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실습하는데 이정도만 이해해도 되지만 더 자세한 이해를 위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브레드보드(BreadBoard) 사용법 - 전자회로
브레드보드가 무엇일까요? 브레드보드(breadboard), 속칭 빵판 또는 빵틀은 전자 회로의 (일반적으로 임시적인) 시제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재사용할 수 있는 무땜납 장치이다. 이것은 영구적이
binworld.kr
오늘은 간단히 1초마다 깜빡이는 LED 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MBlock 에서 제공하는 핀 아웃을 사용하고, 1초를 기다리는 블록을 사용하겠습니다.
- 사용할 준비물 -
저항 220Ω LED 1개 |
회로를 설명합니다. LED 의 +극에 저항을 연결하였습니다. 이 저항에는 + 극이 항상 연결되어 있습니다. LED 의 - 극에는 7번 핀을 연결하였습니다.
7번핀의 진리표 (Truth table) 를 표기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7번핀 | LED |
- (Low) | 켜짐 |
+ (High) | 꺼짐 |
LED 의 + 에는 High 가 - 에는 Low 가 연결되어야 불이 들어오는 것 기억하시죠? + 에는 이미 High 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LED 불은 7번핀 켜고 끄는 것을 결정할 수 있어요. - 로 할 때 켜지고 + 로 할 때 꺼지게 됩니다.
(예제) 1초마다 LED 가 깜빡이는 블록 코드를 작성하세요.
(문제1) 2초동안 LED 가 켜지고 1초동안 LED 가 꺼지도록 블록 코드를 변경해 보세요.
(심화문제) LED 를 한개 더 연결하여 1초마다 번갈아 가면 켜지도록 회로와 블록 코드를 변경해 보세요.
[MBlock_Uno] #6 Character LCD 켜기 (0) | 2022.02.01 |
---|---|
[MBlock_Uno] #5 부저로 소리내기 (0) | 2021.09.21 |
[MBlock_Uno] 준비할 사항 (0) | 2021.09.16 |
[MBlock_Uno] #4 LED 밝기 조절 (0) | 2021.09.10 |
[MBlock_Uno] #3 RGB (0) | 2021.09.05 |